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경제산업부 김승희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1. 김 기자, 앞서 리포트 보니 아스파탐 들어간 제품들 많던데요. 먹어도 되는 겁니까? <br> <br>네,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건강한 성인이 조금 먹는 건 위험하지는 않습니다. <br><br>아스파탐은 설탕과 열량이 같지만 단맛은 200배에 달하는 인공 감미료입니다. <br> <br>설탕의 200분의 1 칼로리로 같은 단맛을 낼 수 있어 저칼로리 식품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습니다.<br> <br>식약처는 '1일 허용량 이내로 먹는다면 안전하다'고 안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몸무게 1kg당 40mg, 그러니까 60kg 성인은 하루 2.4g까지는 괜찮다고 보는 겁니다. <br> <br>다만 전문의들은 몸 상태에 따라 다르기에 주의할 필요성은 있다고 당부합니다. <br><br>[심경원 / 이대서울병원 가정의학과 교수] <br>"암에 가족력이나 유전적인 요인이 있거나, 임산부거나 특별히 조심해야 될 사람들 있잖아요. 식품 관련 연구는 건강한 <br>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다 보니까 그게 누구에게나 완전히 괜찮다라고 말할 수 없는 거죠." <br><br>Q2. 그런데 이미 50년이나 써왔다면서요. 왜 이제서야 나온 거에요? <br> <br>네, 아스파탐은 1970년대부터 인공 감미료로 널리 쓰였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최근 세계보건기구가 아스파탐을 '발암 가능' 물질로 분류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오며 논란이 생긴 건데요. <br> <br>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서는 발암물질을크게 다섯 단계로 나눕니다. <br><br>아스파탐이 분류될 걸로 알려진 2B군은 '발암 가능 물질'로, 세 번째입니다. <br> <br>역학연구나 동물실험 결과상 증거가 충분하진 않지만 발암 가능성이 있을 수 있다고 여겨지는 건데요. <br> <br>같은 등급에는 자동차 배기가스, 전자파 등이 포함돼있고요. <br> <br>술, 담배, 햄과 같은 가공육 등이 1급에 속합니다.<br> <br>하지만, 다른 의견도 있습니다.<br><br>미국암협회나 미국식품의약국, 유럽식품안전청 등에서는 아스파탐이 암 발생에 결정적인 연관성이 없다고 지적하는데요.<br><br>WHO 공식 발표가 나온 뒤 국제사회 동향을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. <br><br>Q3. 아스파탐, 어디에 쓰이는지는 궁금하네요. 음료에만 쓰이나요?<br> <br>네, 앞서 리포트 보신 것처럼 제로슈거를 내세운 일부 탄산음료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성분 표시를 보시면, 이렇게 아스파탐이 첨가돼 있다는 문구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 <br> <br>스낵류에서도 찾아볼 수 있고요. <br> <br>발효 과정에서 막걸리 맛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아 막걸리에도많이 쓰입니다. <br><br>Q4. 소비자들 혹시나 하는 생각에 피할 가능성도 있어 보이는데요. 아스파탐을 빼거나 원료를 바꿀 수는 없나요? <br><br>네, 우선 제과업계 오리온과 크라운은 선제적으로 일부 제품에 들어간 아스파탐 원료를 대체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막걸리 업계도 업계 차원에서도 공동 대응 기준을 마련할 계획입니다. <br><br>전국 막걸리 시장의 40%를 점유하고 있는 서울장수막걸리는, 식약처 기준이 명확해지면 아스파탐 전면교체를 검토하겠다고 했고요.<br> <br>펩시는 원액을 본사에서 받아 쓰고 있어 본사와 향후 방향을 논의 중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우리나라 식약처는 일단 오는 14일, 세계보건기구가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공식 분류하면, 업계 상황과 해외 동향 등을 <br>종합적으로 검토해 방침을 정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